연해주 및 블라디보스톡시 개황자료(2018년 기준)
본문
연해주 및 블라디보스톡시 개황
I. 연해주(Primorsky krai) 개황
1. 일반 개관
가. 면적 및 위치
• 면적: 164,673㎢ (한국의 약 1.67배, 러시아 전체의 0.92%)
• 위치: 북쪽으로는 하바롭스크주, 서쪽으로는 중국, 남서쪽으로는 한반도(북한)와 접경
나. 지형 및 기후
• 대체로 산악지형
- 영토의 약 80%가 산림지대로, 남북으로 시호테알린산맥, 서쪽에는 우수리스크 평원 및 한카 평원
• 몬순기후
- 겨울이 길고 기온이 낮으며 여름은 짧고 건조
- 평균기온 : 1월 -20℃, 7월 20℃
다. 인구 및 민족구성
• 인구 : 191만 3,037명 (2018년 기준)
- 인구밀도 : 11.62명/㎢
- 러시아 전체 인구의 약 1.3%, 85개 지방 중 27위
• 민족구성 : 러시아인(85.6%), 우크라이나인(2.55%), 고려인(0.96%), 타타르인(0.54%), 우즈벡(0.46), 벨라루스인(0.3%), 아르메니아인(0.3%) 등
라. 주요 도시
• 주도(州都) : 블라디보스톡(60.7만명)
• 주요도시 : 우수리스크(17만), 나호트카(15.3만), 아르쫌(10.6만), 아르세니예프(5.3만), 스파스크 달니(4.1만), 볼쇼이 카멘(3.8만), 파르티잔스크(3.7만) 등
마. 특이사항(우리와의 역사적 관계)
• 연해주는 옛 발해 영토의 일부였으며, 1863년(또는 1864년)부터 자발적 이주 한인들의 집단정착지로서, 1937년 스탈린에 의한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전까지 약 17만 명의 한인이 거주하고 있었고 해외 항일독립운동의 근거지 역할
바. 약 사
• 연해주는 수세기에 걸쳐 발해, 금나라, 러시아제국 등의 영토였으며, 13세기 이후부터 최초 러시아 동방원정대 출현 전까지 미개척지
• 1850년대 제정러시아 정부, 연해주 남부 수역에 대한 적극적 탐사 실시
• 1860년 북경조약에 따라 연해주 일대가 러시아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7월 러 해군들이 군함(‘만주’호)을 타고 블라디보스톡시내 금각만에 진주, 초소를 설치
• 1860년 이후 연해주 지역(당시 명칭은‘ 南우수리’) 개발을 목적으로 러시아 중부 및 남부 지역 주민(농업, 수공업 종사자, 군인, 망명자 등) 이주
• 1938년 극동주(Dalnevostochniy krai)가 하바롭스크주와 연해주로 분리되어 현재의 연해주 탄생(1938.10.20.)
2. 정치
가. 주요기관
• 주정부(주지사 : Andrei TARASENKO, 2017년 10월 취임)
• 주의회(의장 : Alexnader ROLIK, 2016년 10월)
• 외교부 블라디보스톡대표부(대표 : Vladimir KONOVALOV)
• 태평양함대(사령관 : Sergei AVAKYANTS)
나. 행정구역
• 12개 도시, 22개 군(29개 도시마을, 116개 농촌마을)
다. 지역정세
• 연해주는 최근 수년간 연방정부가 추진하는 극동개발 정책의 핵심 지역
- 2012년 블라디보스톡 APEC 정상회의, 2015년 이후 동방경제포럼 연례개최
- 블라디보스톡자유항法, 선도개발구역法, 극동헥타르법(국유지 무상제공) 등 투자환경 및 생활여건 개선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 구축
• 개발정책에 따라 다양한 사회경제 분야 프로젝트 추진에도 불구하고 주민생활과 직결된 부문의 개선은 여전히 더디게 진척되는 상황
2017년 연해주 지도부 교체(10월 주지사(타라센코), 12월 시장(베르케엔코))
라. 학술·언론·문화
• 대학 및 연구소
- 종합대학: 극동연방대학교(FEFU), 블라디보스톡경제서비스대학교
≪극동연방대학교(Far Eastern Federal University) 개황≫
• 설립과정
- 1899년 니콜라이 2세 칙령으로 블라디보스톡 동방대학으로 출범
- 1920년 극동국립대학으로 개편
- 1930년 극동국립기술대학/1953년 우수리스크 국립사범대학/1964년 극동소련무역대학/2004년 태평양국립경제대학 출범
- 2011년 극동연방대학 출범(극동국립대학, 극동국립기술대학, 우수리스크 국립사범대학, 태평양국립경제대학 통합)
• 현황
- 8개 학부: 과학기술학부, 자연과학부, 생의학부, 문화예술체육학부, 지역국제관계학부(동양학부), 경제·경영학부, 법학부, 교육학부 등
- 교원/학생: 교원 3,300명 / 학생(학부․대학원) 33,000명
• 한국학과
역사: 1899년 블라디보스톡 동방대학에서 한국어 수업 시작/1930년대 한국학 연구가 중단된 후 1970년 한국학과 분과 형태로 재개설/1995년 장치혁 고합회장의 지원으로 한국학 학부로 발전/2011년 극동연방대학 한국학과로 개편
현황: 교원 20명, 학부생 140여명
개설과목: 한국어, 한국문학, 한국정치경제, 한국사, 극동한인문화론 등
- 특수대학: 국립해양대학교, 극동수산기술대, 블라디보스톡의과대학, 극동국립예술대, 마카로프 태평양해군학교 등
- 연구기관 : 역사연구소, 태평양지리연구소, 해양연구소 등 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 산하에 20여개 연구소 설치
• 언론사 : 졸로토이로그지, 노바아가제타지, 콘쿠렌트, 블라디보스톡지, 에펙트, OTV, 블라디보스톡 방송국, 프리마메디아통신, 데이터통신, 보스톡메디아 통신 등
• 문화·예술: 마린스키극장(연해주무대), 에르미타쥐박물관(연해주관), 트레치야코프미술관(연해주관), 블라디보스톡필하모닉, 고리키극장, 푸쉬킨극장, 연해주 해양관(아쿠아리움), 아르세니예프박물관, 연해주국립미술관 등
3. 경제통상
가. 주요경제 지표
• 지역총생산(GRP)(2016년) : 7,369억 루블(약 127억불)
1인당 지역총생산: 382,600루블(약 6,500불)
• 근로자 월평균임금(2017년) : 37,962 루블(약 645불)
• 실업자 수(2017년) : 56,300명
나. 산업구조 및 주요동향
• 연해주 주요산업은 수산업, 철강업(금속가공), 전력산업, 기계제작, 목재생산 및 가공, 광업 등
• 2017년 산업생산은 전년대비 16.7% 증가(제조업 22%, 전기가스증기 생산 5% 증가, 광업 8% 감소)
- (고정자본투자) 투자 유입액은 1,257억 루블로 전년대비 5.3% 감소
- (농업) 농업 생산량은 486억 루블로 전년대비 13% 증가
- (건설) 건설물량은 699억 루블로 전년대비 0.4% 증가, 주택공급량은 41.8만㎡로 전년대비 15% 감소
- (소매거래 및 서비스) 소매거래는 3.8%, 서비스는 3.5% 전년대비 각각 증가
• 주요산업 동향
- (에너지) 국영 에너지기업을 중심으로 나호트카 석유화학단지, 질소비료공장 건설 등 초대형 에너지 프로젝트 추진 중
- (조선) 볼쇼이카멘시 소재 즈베즈다조선소에서 극동지역 조선소 현대화사업이 로스네프트 컨소시엄 참여 하에 진행 중
- (수산) 연해주 지역경제의 핵심 산업 중 하나로서 2017년 기준 124개 수산 기업의 어획량은 명태 49.8만톤, 청어 12.2만톤 등 66.2만톤(2017년 게 조업 재개)
- (물류) 에너지, 수산 부문과 함께 연해주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영역은 항만 개발과 연계한 교통물류 산업(연해주 국제운송회랑 ‘프리모리예-1’, ‘프리모리예-2’개발 개념 승인 및 관련 프로젝트 추진 중)
- (관광) △한-러 무비자협정 △러-중 단체관광객 비자면제협정 △블라디보스톡자유항법에 따른 전자비자제도 시행 △블라디보스톡 취항 항공편 및 크루즈 입항 증설 등에 따른 연해주 입국 외국관광객 증가 추세(2017년 약 64만 명의 외국인이 연해주를 방문)
다. 주요자원
• 붕소, 주석, 텅스텐, 아연, 비소, 형석 등 다양한 광물자원 매장지 보유
- 러 국내 자원생산에서 형석 92%, 텅스텐 64%, 붕소 100%, 아연 73% 차지
- 약 100여개의 석탄 광산(추정 매장량 24억톤), 30여개 주석광산, 15개의 광석 단지 등
• 영토의 80%가 삼림지대로 목재자원 보유량 17.5억㎥
• 타이가 지대는 다양한 동식물군을 포함한 생태계 보고이며, 해양어족자원도 풍부
라. 지역경제 특성
• 러 정부는 △극동지역 선도개발구역 및 △블라디보스톡자유항 제도 추진 △경제특구 운영 및 복합카지노단지 착공 △루스키섬 개발(테크노파크, 의료클러스터 조성) 등 연해주를 극동개발의 거점으로 활용
- 2017.12월 기준 극동지역에서 가장 많은 선도개발구역(4곳)과 블라디보스톡자유항 구역이 지정되어 있으며, 러시아 기업 외에 우리나라, 중국, 일본, 동남아 국가 기업들의 투자진출도 가시화
마. 대외교역(2017년)
• 교역량 : 68.2억불로 전년(53.6억불) 대비 277% 증가
수출 30.7억불, 수입 37.5억불
• 주요교역은 중국(32.5억불), 한국(11.3억불), 일본(7.4억불), 이집트(6.4억불), 브라질(2.1억불), 미국(0.9억불) 등
- 주요수출품은 수산물(35%), 연료 등 광물제품(22%), 기계장비(22%), 목재(13%) 등이며, 주요수입품은 기계․장비․운송수단(43%), 식료품(22%), 화학․고무제품(11%) 등
• 한국과의 교역액(2017년)은 11.3억불로 전년(9,1억불) 대비 24% 증가
대한국 수출 7.47억불, 수입 3.87억불
• 북한과의 교역액은 942만불(2016년 665만불)
바. 외국인투자
• 2016.4.1. 기준 對연해주 외국인 투자액은 8억 1,490만불
• 한국의 對연해주 누적투자액은 1.1억불(2014.1월 기준)
4. 외국공관 개설
• (총영사관) 한국, 북한, 미국, 일본, 베트남, 인도, 중국
• (출장소) 키르기스스탄
• (영사관) 호주, 캐나다
• (명예영사) 필리핀, 태국, 독일, 영국, 방글라데시, 아르메니아, 뉴질랜드, 남아공, 칠레, 인도네시아, 라오스, 슬로바키아, 라오스 등
5. 재외국민(동포) 현황
가. 재외국민
• 약 430명
• 상사주재원, 개인사업자, 선교사, 유학생 등
• 주요 교민단체
- 연해주한인회, 연해주지상사협회, 연해주선교사협회, 연해주유학생회
나. 고려인동포
• 약 3만 명
• 동포단체: 우수리스크민족문화자치회, 연해주고려인협회, 연해주다민족문화센터, 연해주한인이산가족협회 등
6. 한-연해주 관계
가. 주요인사 교류
• 1994년 6월 김영삼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방문
• 2004년 5월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블라디보스톡 방문
• 2011년 2월 울레이스키 연해주 국제협력담당부지사 방한
※ 연해주-한국보건산업진흥원간 보건의료협력 MOU 체결
• 2011년 11월 미클루셰프스키 극동연방대학교 총장 방한
※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 면담, 포항시, 삼성의료원, 대학 방문
• 2012년 1월 극동지역 주요인사(블라디보스톡, 캄차트카 외교대표 등 14명) 방한(강원도)
• 2012년 9월 이명박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방문
※ 2012 APEC 정상회의 계기
• 2013년 1월 강창희 국회의장 연해주 방문
※ 아태의회 포럼 총회 계기
• 2013년 5월 미클루셰프스키 연해주 주지사 방한
※ 연해주 투자설명회 개최, 국회의장 면담
• 2013년 7월 주철기 외교안보수석 블라디보스톡 방문
※ 러시아 주최 제4차 고위급 안보회의 계기
• 2013년 7월 안홍준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블라디보스톡 방문
• 2014년 9월 유기준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연해주 방문
• 2014년 9월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블라디보스톡 방문
• 2015년 7월 정종욱 통일준비위원회 민간부위원장, 고건 前부총리 연해주 방문
• 2015년 9월 윤상직 산업통상부 장관 블라디보스톡 방문
※ 제1차 동방경제포럼 계기
• 2015년 10월 최경환 부총리 연해주 방문
※ 한-러 경제공동위 계기
• 2016년 9월 박근혜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방문
※ 제2차 동방경제포럼 계기
• 2016년 11월 고현수 제1야전군 부사령관 연해주 방문
• 2017년 7월 송영길 의원 연해주 방문
※ 북방경제원정대
• 2017년 9월 문재인 대통령 블라디보스톡 방문
※ 제3차 동방경제포럼 계기
• 2018년 3월 송영길 북방위원장 블라디보스톡 방문
※ 제2차 한국투자자의 날 계기
• 2018년 3월 자하랸 연해주 부지사 방한
※ 동북아 가스파이프라인 전력그리드 협력포럼(서울) 참석
나. 주요행사 일지
• 2010년 아르세니예프 박물관 한국문화실 재개관
• 2010년 11월 최재형 선생 고택 동판 부착 및 제막식
• 2011년 8월 안중근 의사 단지동맹 기념비 이전 행사(크라스키노)
• 2011년 11월 한-러 극동 비즈니스 포럼
• 2012년 6월 한-러 보건의료 포럼
• 2012년 7월 제2차 한-러 극동포럼
• 2013년 5월 제3차 한-러 극동포럼
• 2013년 7월 한-러 경제협력 포럼
• 2013년 11월 한-러 지식포럼
• 2014년 4월 제4차 한-러 극동포럼
• 2014년 8월 동북아평화협력 포럼(한인 이주 150주년 기념사업)
• 2014년 9월 한-러 지식포럼
• 2014년 10월 KRD-슬라브학회-극동연방대 국제회의
• 2015년 7월 유라시아 친선특급
• 2015년 10월 한-러 경제과학기술공동위(블라디보스톡)
• 2016년 6월 제6차 한-러 극동포럼
• 2016년 6월 한지공예전, 조형작가 현대미술전
• 2016년 8월 중앙일보 평화오디세이
• 2017년 4월 제7차 한-러 극동포럼
• 2018년 3월 제2차 한국투자자의 날
다. 자매결연․우호교류 체결현황
• 1991년 12월 나호트카시와 동해시간 자매결연협정 체결
• 1992년 6월 블라디보스톡과 부산시간 자매결연협정 체결
• 1994년 6월 연해주와 강원도간 자매결연협정 체결
• 1996년 7월 속초시와 하산군간 우호교류협정 체결
• 1996년 9월 우수리스크시와 마산시간 자매결연협정 체결
• 2005 8월 담양군과 아르쫌시간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07년 2월 포천시와 나호트카시간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07년 8월 마산시와 우수리스크시간 우호교류협정 체결
• 2012년 6월 인천시와 블라디보스톡시간 자매결연협정 체결
라. 직항노선 및 페리운항
• 블라디보스톡↔인천(대한항공, 제주항공, 아에로플로트, S7)
• 블라디보스톡↔부산(아에로플로트)
• 블라디보스톡↔대구(T-way)
※ DBS 페리, 동해-블라디보스톡 간 주 1회 운항
II. 블라디보스톡(Vladivostok) 개황
1. 일반 개관
가. 면적 및 위치
• 면적: 331㎢
- 이중 루스키섬 면적 97.8㎢
• 위치: 피테대제만(灣)을 접한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반도(半島) 및 수개의 섬에 위치
나. 기후
• 해양몬순
• 평균온도 : +4.9℃ (1월: -11.3℃, 8월: +20.8℃)
다. 인구
• 60.6만명
라. 자매도시
• 한국 : 부산(1992.6.30.), 인천(2012.7.30.)
• 북한 : 원산(2009.10.19.)
• 중국 : 대련(1992.9.10.), 연변(2011.5.18.)
• 일본 : 니가타(1991.2.28), 아키타(1992,6.29), 하코다테(1992.7.28)
• 미국 : 샌디에고(1991.9.10.), 주노(1992.2.21.), 타코마(1992.2.25.)
• 에콰도로 : 만타(2009.10.29.)
• 말레이시아 : 코타키나발루(2010.3.15.)
마. 시정부․의회
• 블라디보스톡 시정부(시장: Vitaly VERKEENKO, 2017.12월 취임)
부시장 8명
• 블라디보스톡 시의회(의장: Andrei BRIK)
의원 35명
바. 경제현황
• 러 극동지역 최대 경제도시로 제조업(자동차, 조선, 선박수리, 식품 등), 교통, 물류, 농업, 관광서비스업, 광업, 건설업 등이 발달
• 4만 6천여개 기업이 활동 중이며(이중 약 60%가 연해주 본사), 이중 민간기업이 93%
2. 약 사
• 1859년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동(東)시베리아 총독, 연해주 피터대제만(灣) 탐사
• 1860년 7월 러 해군항으로 지정(1880년 시로 승격)
• 1890년-1910년대 극동의 외교, 경제 중심지 역할(1917년까지 다수 국가가 영사관 개설, 1917년 이후에는 일본, 영국, 프랑스, 미국 등 간섭군 진주)
• 1952년 해군기지 건설 후 약 40년간 외국인에게 폐쇄
• 1992년 1월 이후 대외개방
3. 특기사항
•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종착지, 5대양 연결 해운노선 및 아시아 주요도시 직항로 개설
• 러 태평양함대사령부, 극동연방대학교, 극동과학아카데미 극동지부 소재
• 러 극동지역의 국제교류․경제협력의 중심도시로 부상
- 2012년 9월 러 최초 APEC 정상회의, 2015년 이후 매년 동방경제포럼 개최
- 2015년 10월 블라디보스톡 포함 연해주 남부지역을 ‘블라디보스톡 자유항’으로 지정
4. 유적지 및 명소
가. 항일독립운동 유적지
□ 구(舊) 개척리 터
• 블라디보스톡 시내 포그라니치나야 거리에 위치
• 포그라니치나야 거리로부터 아무르만에 접한 남쪽 언덕과 그 아래 저지대에 이르는 일대(카레이스카야 슬라보드카, 한인 거주지)는 19세기 중엽(1864년경 이후) 최초 자발적 이주한인들이 거주했던 지역이며(약 700가구 7,500여명 추산), 구개척리는 항일독립운동의 중심지이자 한인학교 및 한인 언론기관 위치
□ 신한촌 터(기념비)
• 블라디보스톡 하바롭스카야 거리에 위치
• 1911년 5월 러시아 당국이 콜레라 예방 차원에서 구개척리에 거주하던 한인들을 신한촌으로 이주시킨 이후 여러 한인단체 사무소가 들어서면서 항일독립운동, 혁명운동의 본거지 역할을 담당
• 1999년 8월, 한민족연구소가 3.1 독립선언 80주년을 맞아 신한촌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건립
기념비는 3개의 대리석 탑으로 조형되었으며, 3개 탑은 국내, 만주지역, 연해주 지역 등 3개의 대표적 항일운동 세력을 상징
나. 명소
□ 아르세니예프 박물관
• 주소: 블라디보스톡 스베틀란스카야 거리 20(시내 중심에 위치)
• 舊시베리아 상업은행 건물(1906년 건설)을 연해주 일대 탐험가 아르세니예프를 기념하기 위해 1945년 박물관으로 개관하였으며, 연해주 관련 고고학, 지리학, 민속학적 자료, 희귀문서, 각종무기, 화폐 등이 전시
입구관, 연해주자연관, 금나라 해릉왕릉관, 연해주역사관(발해 등), 원주민관, 동방진출사관, 근대사관 등으로 구성
※ 아르세니예프(V.K.Arseniev, 1987-1930): 러시아 지질학자, 탐험가로 여러 차례 연해주, 하바롭스크주, 캄차트카 등 극동지역 원정을 통해 수백여건의 역사유물 발굴 및 연구자료 발간
□ 연해주 국립미술관
• 주소(위치): 블라디보스톡 알레웃스카야 거리 12(본관, 시내 중심)
• 본과 외에 별관(파르티잔스크12)에 약 7.4천여점의 작품 소장
- 고대 러시아 예술품, 14세기-20세기 러시아 및 유럽작품, 18-21세기 유명 러시아 화가 작품
□ 전망대(독수리둥지)
• 블라디보스톡 시내와 금각만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으로, 러시어어 알파벳 창시자 키릴과 메포디 형제 동상이 있으며, 전망대 입구까지 ‘푸니클료르’로 불리는 특수 열차로 이동 가능
□ 중앙광장
• 시내 중심지에 위치한 광장으로, 입구에는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위해 싸운 병사들을 기념하는 동상이 있으며, 광장 왼쪽에는 연해주정부 청사 건물 위치
□ 블라디보스톡 요새
• 규모 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크고 독특한 해안요새 중 하나로, 1889-1918년 사이 3단계로 블라디보스톡 곳곳에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시내에 위치한 요새를 복원하여 박물관으로 사용
□ 블라디보스톡역(시베리아횡단열차 종착역)
• 모스크바와 블라디보스톡을 잇는 시베리아횡단철도(길이 9,288km)의 종착역으로, 역 건물은 1907-1912년 코노발로프의 설계에 따라 건설
□ 태함사 기념관(영원의 불꽃)
• 금각만에 접한 곳에 위치한 태함사 기념관에는 제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비와 태평양과 대서양 전선에서 실제 참전한 잠수함을 박물관으로 활용 중
□ 해변공원(나베레즈나야)
• 시내 중심에 위치한 보행자 전용거리인 일명 ‘아르바트’와 연결되어 있는 해안공원으로, 디나모 스타디움, 소규모 놀이동산 등이 있으며, 여름철에는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
□ 루스키 섬
• 극동의 크론슈타트(페테르부르크 핀란드만에 위치한 섬)라는 별칭을 갖고 있는 큰 섬(길이 18km, 폭 13km)으로, 19세기-20세기 초에는 대규모 요새가 건설되었고 舊소련시절에는 군사시설이 위치하였으며, 2012년 APEC 계기 연륙교(루스키 대교)가 건설되어 섬에 위치한 극동연방대 캠퍼스가 회의장으로 활용
- 2016년 9월 러시아 최대 규모의 연해주 아쿠아리움 개장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