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친환경적인 땅과 넓은 농토에서 재배되는 작물은 그 풍토로 인해서 우수한 곡물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황태덕장을 운영하기에 최적의 환경이며 러시아산 명태를 현지공장에 공장을 조성하여 가격경쟁력 및 최상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약재 및 곡물, 킹크랩, 녹용, 명태 등 다양한 제품으로 확대 할 수 있으며 수입조건 및 여건 또한 부드러운 흐름으로 이끌어 갈 수 있습니다.
러시아 연해주 현지에 황태덕장 및 자동화 공장을 통해 가공과 건조, 포장해 한국에 공급합니다. 중국산 황태와의 가격경쟁력과 제품생산의 우수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블라디보스톡전국 황태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인제용대황태는 연간 500억원 규모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인제 효자 특산물이다. 인제황태는 냉동 원료명태를 이용하여 12월 중순에서 1월 사이에 상덕작업 한 후 약 3~4개월 건조기간을 거친 후 생산되는데, 날씨가 춥고 일교차가 큰 용대리 지역의 지리적 특성으로 황태의 수축이 적어 황태 고유의 모양으로 건조되어 속살이 부드럽고 맛과 향이 우수한 인제용대황태 생산이 가능하다.
황태는 주로 우리나라 북부지방인 함경도 지방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전쟁 이후 함경도 청진, 원산에서 황태덕장을 하던 피난민들이 휴전선 부근인 인제, 속초 등의 강원도 지역에서 터전을 닦게 되면서 함경도 지방과 날씨가 흡사한 인제군 북면 용대리 지역에서 덕장을 설치하면서부터 황태단지가 형성되었다.
현재 인제용대황태 덕장은 용대 1리~3리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미시령 아래 지역인 용대 3리에 황태단지가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황태는 원료 명태를 할복하여 내장을 빼낸 후 겨울철 덕장에 걸어 건조한 것을 말하는데, 황태에는 인체 각 부분의 세포를 발육시키는데 필요한 (라신)이라는 필수 아미노산과 뇌의 영양소가 되는 (트립토판)이 들어있는데 이는 2005년 강원대학교의 분석 결과 인제용대황태는 아미노산 함량이 중국산황태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황태 특유의 고소한 맛과 향이 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용대황태의 아미노산 성분 분석 결과 총 아미노산 함량은 1,451,16㎎%로 나타났는데, 주요성분으로는 타우린(Taurine) 성분이 677.36㎎%로 가장 많았으며, 알라닌(Alanine) 145.79㎎%, 글루탐산(Glutamic acid) 94.20㎎%, 세린(Serine) 63.92㎎%가 순으로 나타났다.
알라닌, 글루탐산 등은 고소하고 담백한 인제용대황태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아미노산이 숙취해소 및 간을 보호하는데 기능을 하며 일산화탄소 중독을 풀어주는 해독효과도 있다. 인제황태는 15개의 황태가공품이 있어 기본적인 황태를 비롯하여 다양한 황태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 지리적표시단체표장등록(69호, 2010.07.13.)
구분 |
재배면적 (ha) |
생산량 (톤) |
농가수 (명) |
연매출액 (억원) |
가공품 (개) |
지리적 표시 |
---|---|---|---|---|---|---|
황태 | 20.5 | 3,000만마리 | 500억원 | 15 | 특허청 제69호 2010.7.13 |